"최양업 신부님의 <사향가> 언급". 평화신문(5월25일자)

작성자 : 양업고 | 조회수 : 6,458 | 작성일 : 2014년 5월 29일

파일첨부 :

사향가.hwp (33.0K) [59]
‘천주가사’ 용어 도입한 하성래 선생 팔순 기념 논총 발간

천주가사, 고전문학의 한 장르로 정립시켜

우리 학계에 ‘천주가사’라는 용어를 도입한 원로 국문학자이자 교회사연구자인 하성래(아우구스티노) 전 수원교회사연구소 고문이 20일로 팔순을 맞았다. 이에 서종태(스테파노) 전주대 역사문화콘텐츠학과 교수 등 후진들은 최근 「규운 하성래 선생 팔순 기념논총」을 발간하고, 17일 서울 화양동 무스쿠스 건대점에서 기념 논총 봉정식을 가졌다. 봉정식에는 수원교구장 이용훈 주교를 비롯해 수원교회사연구소장 정종득 신부 등 성직자와 교회사학자 30여 명이 함께했다.

하 박사는 “별로 업적도 없는 사람인데 후학들의 권유에 못이겨 기념논총까지 내게 돼 부끄럽기만 하다”고 겸양을 표했다. 그러나 그는 1971년 「한국언어문학」에 국내 첫 천주가사 연구 논문을 발표한 데 이어 1985년 고려대에서 「천주가사 연구」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, 최근까지도 논문을 낼 정도로 천주가사 연구에 독보적 업적을 남겼다.

하 박사는 천주가사도 불교가사나 동학가사 같은 다른 종교가사와 마찬가지로 △신앙의 결속력 △강한 포교성(선교성) △작자 자신의 신앙고백이라는 특성을 지닌다며 천주가사의 백미이자 결정판, 원형(archetype)은 천주가사의 모든 것이 집약된 최양업 신부의 사향가이며, 나머지는 다 사향가의 아류다 고 잘라 말했다.

하 박사는 이어 “천주가사를 연구하는데 가장 어려웠던 것은 천주교 용어 문제였는데, 이를 학술적으로 정리해준 분이 윤형중 신부님이셨다”며 “윤 신부님께서는 당신이 쓴 「천주교 요리 상해」전 3권 중 2ㆍ3권을 헌 책방에서 구했는데 1권을 못 구했다고 말씀드리자 선뜻 당신 서가에서 1권을 빼주셨고, 이 책을 바탕으로 연구에 속도를 낼 수 있었다”고 귀띔했다.

당시 연구에 활용된 천주가사 자료수집에는 윤형중 신부는 물론 오기선 신부, 최석우 신부 등 교회사학자들도 큰 도움을 줬다고 한다.

“성경에 시편이나 아가가 있듯이 우리나라에는 ‘천주가사’가 있다고 보면 됩니다. 중국에도 성인을 꿈꾸는 노래라고 해서 성몽가(聖夢歌)’라는 게 있습니다. 고생은 했지만 천주가사를 고전문학의 한 장르로 정립시킨 건 보람으로 남습니다. 이제는 젊은 후배학자들이 계속 연구해 주셔서 고마울 따름입니다.”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- 오세택 기자 (2014년 5월 25일자 평화신문 일부 발췌)

이상의 글과 관련하여 최양업 신부님의 <사향가>는 첨부파일에 있습니다.